“재개발한다고 없애다니... 성락종합복지관 존치하라”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복지관 이야기

주민과 소통하는 열린복지관

언론보도

  • 복지관 이야기
  • 이모저모
  • 언론보도

“재개발한다고 없애다니... 성락종합복지관 존치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홈페이지담당자 댓글 0건 조회 54회 작성일 25-03-19 09:24

본문

대전지역 사회복지인 기자회견... "재개발계획 용납 안 돼, 전면 수정하라"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재개발로 인해 지역주민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오던 종합사회복지관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이 사회복지관 존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사회복지사협회와 대전사회복지관협회, 대전지역 사회복지인, 성락종합사회복지관 직원 및 자원봉사자, 지역주민 등 100여 명은 18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락종합사회복지관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복지관을 그대로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사회복지법인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사회사업유지재단이 운영 중인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은 대전 중구 용두동에 위치해 있다. 한국전쟁 이후인 1952년, 아동복리시설 성락원으로 처음 설립‧운영된 것을 시작으로, 1961년 현 법인의 산하 시설로 등록해 1992년 지금의 자리에 개관했다.

이후 30여 년 동안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과 돌봄, 저소득가정 및 고령자 대상 경제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현재는 건물 내에서 지역아동센터와 어린이집도 운영하고 있다. 하루 평균 300여 명, 연간 13만 명이 이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복지관 부지가 용두 3구역 재개발 지구에 포함된 것이다. 용두동 3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이 구역을 개발해 16개 동 1991채 규모의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HDC현대산업개발로 시공사를 정하기도 했다. 이 개발계획에는 복지관 이전 또는 재건립, 운영 방안이 전혀 담겨있지 않다. 한마디로 '보상을 해 줄 테니 나가라'는 것.

이에 복지관 구원성과 복지관 이용 지역주민, 대전지역 사회복지인들이 나서서 성락복지관 존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발언에 나선 이경화 성락복지관장은 "지역주민과 33년간 함께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용두3구역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지역주민을 위해 복지관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또 "당초 재개발조합이 설립되기 이전인 2022년에 용두동 3구역 추진준비위원회, 대전중구청 관계자가 한 차례 모여 복지관 지속 운영을 위한 대책을 협의하기로 했었다"며 "그런데 2024년 재개발 조합이 설립된 이후로 현재까지 복지관 의견이 배제된 채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과 복지관 철거를 기반으로한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관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에 큰 상실감과 충격 느껴"

성락종합사회복지관
성락종합사회복지관 ⓒ 성락종합사회복지관
복지관 이용자라고 밝힌 이춘자씨도 발언에 나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은 33년 동안 용두동에서 어르신 식사 제공, 주민프로그램, 교육, 상담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민들의 몸과 마음이 건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저 개인적으로는 탁구도 치고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게 해주는 성락복지관이 너무 좋고 영원히 함께하고 싶다. 그런데 재개발로 인해 어떠한 대책도 없이 복지관이 사라진다니 답답한 심정"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재개발은 단순히 아파트만 새로 짓는 게 아니라 주거환경도 개선 하고 우리의 터전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추진되고 있는 재개발계획은 복지관이 꼭 필요하다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면서 "복지관이 존치되는 재개발이 될 수 있도록 재개발 계획을 전면 수정하라"고 촉구했다.

또 다른 복지관 이용자인 지역주민 허웅씨는 자신의 자녀 3명을 지역아동센터에 보내왔다고 밝힌 뒤 "재개발계획으로 성락지역아동센터와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에 큰 상실감과 충격을 느꼈다"며 "아동들이 이곳을 이용하며 느꼈던 안전한 환경, 소중한 공간이 없어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현재의 재개발계획은 아동들을 포함한 지역주민들의 권리와 미래를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되고 있다. 아동들이 안전하게 성장하고 지역주민들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중한 공간을 잃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복지관이 그대로 존치되어 주민 곁에 있을 수 있도록 재개발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 "성락종합복지관 철거 계획 수정하라", "대전시민 복지권을 보장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대전시와 중구청이 나서서 복지관이 존치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대전시 복지정책과에 '대전시민 복지권 보장 및 성락종합사회복지관 존치 요구 4600명 서명부'와 '용두동 3구역 재개발추진계획 전면 재검토 촉구 대전 소재 13개 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65명 서명부'를 전달했다.

이에 서명부를 전달받은 대전시 관계자는 "복지 부서 입장에서는 당연히 존치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복지관 하나 짓는데 얼마나 어려운지 모른다. 다만 행정 절차상 시에서는 도시정비심의 과정에서 관련 부서가 최종 허가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행정적 문제가 없다면 시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재개발조합과 원만하게 협의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기자회견 후 대전시 관계자에게 서명부를 전달하는 장면.
대전지역 사회복지인과 지역주민 등은 18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개발로 성락종합사회복지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재개발 계획 전면 수정을 통해 성락종합복지관을 존치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기자회견 후 대전시 관계자에게 서명부를 전달하는 장면. ⓒ 오마이뉴스 장재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락종합사회복지관
  • 성락종합사회복지관주소: 대전 중구 선화로43번길 13(용두동)
  • 고유번호: 305-82-00430대표자: 이경화
  • 개인정보담당자: 고민정TEL: 042-254-6396, 042-255-2278
  • E-mail: sunglak05@naver.comFAX: 042-255-4897
  • 전화아이콘 042)254-6396
  •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 점심시간 12:00 - 13:00
  • 주말 및 공휴일은 쉽니다.
Copyright © 성락종합사회복지관 All rights reserved.